주제
제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제례는 가정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기본적인 음식은 대동소이하다. 탕은 3탕을 원칙으로 하고, 소고기·무·두부·다시마를 넣고 끓인 것을 쓴다. 나물은 도라지·고사리·숙주를 쓰는데, 어느 가정에서는 무·시금치까지 해서 5가지 나물을 쓰기도 한다. 적은 3가지가 원칙이며,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북어 등으로 만든다. 약과와 유과의 경우, 산북면 용담리에서는 송화를 직접 따서 다식을 만들고 약과도 만든다. 하지만 유과는 사서 쓴다.

① 가남읍 은봉리

제사상 앞에는 퇴주그릇, 향로, 향합, 술 등을 놓는다. 정씨네 집에서는 이것들을 상에 올려놓지 않고 바닥 위에 놓았다. 제사상 1열에는 오른쪽에는 대추, 밤, 배, 감, 사과 등을 진설하였는데 이것은 조율이시(棗栗梨柿)의 원칙에 입각하여 놓은 것이다. 정씨네는 제사상에 음식을 모두 올려놓기 곤란하자 대추를 2열 왼쪽에 놓았다. 비록 2열에 있지만 1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1열 우측에는 약과, 과자, 사탕, 옥단 등을 올려놓았다. 과일과 과자, 사탕은 계절에 따라 종류가 늘어나기도 한다.

2열에는 나물, 나박김치, 갈납 등을 올린다. 3열에는 3탕과 포와 식혜를 올리는데, 3탕은 육탕(肉湯), 소탕(素湯), 어탕(魚湯)을 가리키는 것으로, 어탕은 두부·다시마·북어를 넣어서 만든 것이고, 육탕은 두부·다시마·돼지고기를, 소탕은 두부·다시마·무를 넣어서 만든 것이다. 3, 4열 우측에는 전과 포, 우측에는 생선전과 식혜, 간장 등을 놓았다. 이것은 건좌습우·어동육서·좌포우혜의 원칙에 입각한 것이다.

4열에는 삼적을 올려놓았다. 삼적에는 육적(산적), 어적(조기구이), 소적(두부적) 등을 가리킨다. 조기는 쪄서 ‘조기찜’을 올린다. 조기찜은 그릇 밑에다 무수(무)를 썰어놓고 물을 좀 부은 후 찜을 찐다. 다 찐 후에는 마늘, 파로 양념하고 깨소금, 계란, 실고추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5열에는 메와 갱(국)을 놓는데 우반좌갱(右飯左羹)의 원칙에 따라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놓는다. 그리고 남좌여우(男左女右), 고서비동(高西卑東)의 원칙에 따라 제상의 왼쪽이 남자, 오른쪽이 여자가 위치하나 정씨네 여인네들은 제사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 밖에도 술잔은 메 앞에 놓으며, 시접그릇은 왼쪽 가장자리에 놓는다.

이러한 제사상 진설법은 차례 때에도 변하지 않으며, 단지 정월에는 메 대신 떡국을, 추석 때에는 송편을 추가로 올려놓는다. 제사상 뒤에는 병풍을 두른다.

② 가남읍 오산리

제사상을 진설할 때는 제사상을 바라보면서 오른쪽을 동쪽으로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진설해야 한다. 즉 신위를 모신 곳이 북쪽이고 제주가 제사지내는 곳이 남쪽이 된다. 제수의 진설방법은 홍동백서(紅東白西), 동조서율(東棗西栗), 좌포우해(左脯右醢), 어동육서(魚東肉西), 동두서미(東頭西尾), 반서갱동(飯西羹東), 고서비동(高西卑東) 등등의 원칙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남의 집 제사에 콩 놓아라, 팥 놓아라 하지 마라”는 말이 있듯이 그 집안의 경제적인 면에 따라 제사상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오산리 어느 집의 제사상을 보면 동조서율(東棗西栗)은 맞지만 홍동백서(紅東白西)에는 위배된다.

제사상 앞에는 향과 향합, 술, 퇴주그릇을 놓는다. 제사상 1열에는 오른쪽에는 대추를, 왼쪽에는 밤을 놓아 홍동백서(紅東白西)의 원칙에 입각하여 놓았으나 밤, 사과, 배의 순서대로 진설한 것은 조율시이(棗栗柿梨)의 원칙에 입각하여 놓은 것이다. 아마도 홍동백서를 기본 원칙으로 하고 나머지 과일을 조율시이에 입각해서 진설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과일 사이에는 산자, 다식, 약과 등을 놓는다. 사과나 귤 등도 1열 가운데 놓기도 하는데 이것은 햇과일을 바친다는 의미가 있다.

2열에는 3탕과 전, 나박김치와 식혜 등을 진설한 반면 3열에는 3적과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등 3채를 진설하여 은봉리의 제사상과 2열과 3열의 위치가 뒤바뀐 셈이다. 3탕은 육탕(肉湯), 소탕(素湯), 어탕(魚湯)을 가리키는 것으로, 어탕은 동쪽에, 육탕은 서쪽에, 소탕은 그 사이에 놓는다. 이것은 어동육서(魚東肉西)라는 진설법에 의거한 것으로, 어탕은 두부, 다시마, 북어를 넣어서 만든 것이고, 육탕은 두부, 다시마, 돼지고기를, 소탕은 두부, 다시마, 무를 넣어서 만든다. 그리고 식혜는 동쪽 가장자리, 북어포는 서쪽 가장자리에 놓는다. 이것은 건좌습우(乾左濕右)의 원칙에 입각한 것이다.

3열에는 삼적을 놓는다. 삼적에는 육적(산적), 어적(조기구이), 소적(두부적) 등을 반드시 놓으며, 4열에는 술잔과 시접그릇을 놓았다.

5열에는 메와 국을 놓는데 우반좌갱(右飯左羹)의 원칙에 따라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놓는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