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회갑연 이외의 장수잔치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우리나라 나이로 60세가 되는 생일에 가까운 친척·친지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고 부모님의 만수무강을 비는 육순(六旬) 잔치가 있다. 회갑 이듬해, 즉 62세가 되는 생일에 육순 잔치 때처럼 간단한 음식을 차려 손님을 접대하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리는 진갑(進甲) 잔치가 있다. 옛날에는 70세가 되도록 사는 사람이 드물어 부모님이 70세가 되면, 자손들이 고희연(古稀宴)을 베풀어 장수를 축하하였다.

칠순잔치를 다른 말로 희연(稀筵), 또는 망팔(望八)이라고도 한다. 70세를 칠순(七旬), 또는 고희(古稀)라고 부르는 것은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라는 문구에서 유래된 것이다. 77세가 되는 생일에 간단한 잔치를 하는데 이를 희수연(喜壽筵)이라 한다. 77세를 희수라 하는 까닭은 ‘희(喜)’자를 초서(草書)로 쓴 것을 파자(破字)할 경우 ‘칠십칠(七十七)’이 되기 때문이다. 88세가 되는 생일에는 미수연(米壽筵)을 차리고 축수한다. ‘미(米)’자를 파자할 경우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이다. 99세가 되는 생일에는 백수연(白壽筵)을 차린다. 일백 ‘백(百)’자에서 ‘일(一)’을 제거하면 ‘백(白)’자가 되는 까닭이다.

결혼 60주년을 맞은 부부는 해로(偕老) 60년을 기념하는 ‘회혼례(回婚禮)’라는 의례를 치른다. 자녀들은 친척·친지들을 초대하여 부모님들에게 60년 전과 같은 혼례식을 올려드리고 성대한 잔치를 베풀어 부모님의 회혼례을 축하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