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금사면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금사면은 백제 때에는 성지매현(省知買縣), 고구려 때는 술천군 골내근현(骨乃斤懸)으로 칭하였고, 통일 신라 이후에는 술천성(述川城)·기천군(沂川郡) 등으로 불렸다. 고려 때 천령현(川寧縣)으로 개칭되었고, 1469년(예종 원년)에 여흥군(驪興郡)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산이 많은 편이다. 산북면과의 경계를 이룬 대렴봉, 이천·광주와 경계를 이룬 천덕봉(天德峰, 해발 530m)과 원적산(圓寂山, 해발 567m) 등 높은 산들이 사방을 에워싸고 있다. 문헌상에 보이는 산으로는 상두산(象頭山)이 있다. 이 산에는 장흥사와 묘운암이 존재했던 것으로 기록에 보인다. 그런데 묘운암은 상두산 외에도 가경산(家頸山)에 위치하였다는 기록도 있어 주목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