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범우고』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필사본 1책으로 고금의 문집과 읍지 등을 고증하여 각 도에 흩어져 있는 절의 존폐, 소재, 연혁 등을 기록한 것이다. 편자는 자세하지 않으나 권두에 “정종대왕어제(正宗大王御製)”가 있는 것으로 보아 1799년(정조 23) 왕명에 의해서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의 행정에 따라 전국을 8도로 나누고, 다시 각 지방별로 절의 존폐, 위치, 거리 또는 각 절에 따른 시문과 사적을 밝히고 있어 불교사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자료이다.

報恩寺 在鳳尾山 一名神勒寺有甓築浮屠圖故又號甓寺
大隱菴 在大抱山
妙蓮寺在梨浦山
妙雲菴 在象頭山
白雲菴 在黃鶴山
上院寺俱在慧目山今廢
隱寂庵在鸎子山
長興寺 在象頭山今廢
鐵甲寺 俱在歡喜山今廢
鷲巖寺 俱在慧目山今廢
下北寺 俱在慧目山今廢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