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대법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 소재지 : 가남읍 안금리 산100
□ 지정사항 : 전통사찰

대법사는 진성여왕 때 창건되었으며 당시에 0.9m 높이의 미륵입상을 조성하였기 때문에 미륵당으로 불렀다고 하는데, 사적기가 없어 정확한 창건연대와 유래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후 조선 숙종 때 인근 야산에 인현왕후의 오빠인 민진후의 묘를 쓰게 하고 묘 일대를 여흥 민씨에게 관리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명성황후의 모친 한산 이씨도 이곳에서 남편 민치록의 명복과 가내의 축원을 빌었다고 전해진다. 후에 그의 딸이 고종의 비로 책봉되자 미륵불이 있던 자리에 대웅전을 건립하고 원당사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야기를 뒷받침해줄 사료나 유물 등 실질적인 자료가 없어 절의 역사는 여전히 전설에 머물고 있다. ‘대포산 대법사’란 편액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기 전 왼쪽에 국사당 건물이 위치해 있고, 위로 올라가면 범종각이 있다. 마당을 중심으로 대웅전과 지장전이 놓여있고 그 뒤로 삼성각이 자리 잡고 있다. 대웅전 앞에는 석등과 삼층석탑, 약사여래좌상이 있다. 이곳은 1971년부터 대웅전과 요사채를 지어 사찰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여 1988년에 지장전과 종각을 세우고, 1989년에는 대웅전을 중수하였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칠량구조에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안에는 석가여래와 관음, 대세지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지장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삼량가를 짠 익공계 팔작지붕이다. 안에는 지장보살과 지장탱화, 칠성탱화, 시왕도, 범종을 봉안하고 있다. 삼성각은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구조는 콘크리트이며 안에는 독성상과 산신상을 나란히 봉안하고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