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조성환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독립운동가로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순소(舜韶), 호는 청사(晴簑)이고 일명(一名) 욱(煜)으로도 불렸다. 진사(進士) 조병희(曺秉熹)의 아들이며 여주 대신면 보통리 출신이다. 26세 때 무관학교(武官學校)에 입학하였으나 부패한 군부(軍部)를 숙청하려다 발각되어 사형선고를 받고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뒤 3년 만에 칙령으로 특사되어 참위(參尉)로 임관되었으나 사직하였다. 1906년 안창호(安昌浩)·양기탁(梁起鐸) 등과 함께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여 항일구국운동에 투신하였으며, 1907년 1월 연해주로 망명하여 헤이그특사 파견 때 이상설(李相卨)을 원조하였다. 그리고 1908년 노우키에프스크(煙秋)에서 최재형(崔在亨)과 구국방략을 협의하고 북경으로 가서 항일독립운동에 가담한 뒤 귀국하여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였다. 그 뒤 북경으로 건너가서 북경을 근거지로 간도·연해주를 왕래하면서 중국혁명 원로 진기미(陳其美)와 함께 한중공동전선을 펴 항일투쟁을 전개할 것을 주창하였다. 1912년 일본 총리대신 가쓰라(桂太郎)가 중국동북지방(만주)을 시찰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암살을 기도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 체포되어 거제도에 1년간 유형(流刑)되었다. 석방된 뒤 또다시 항일독립운동의 책원지인 만주와 연해주 등지로 망명하였다. 그뒤 지린성 당국과 교섭하여 흑룡강성(黑龍强性) 오운현(烏雲縣)에 약 5,000호가 거주할 수 있는 농지를 마련하고 항일독립운동의 기지와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한 둔전제(屯田制)를 실시하려고 기도하였으나 러시아혁명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일(徐一)·계화(桂和) 등과 항일독립운동을 추진할 것을 결의한 뒤 상해로 건너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군무부차장에 임명되었다. 1919년 4월 10일 임시정부 의정원의원에 노령(露領)대표의원으로 당선되고 군무부위원이 되었다. 또한 1919년 4월 23일 국내에서 13도대표로 구성된 국민대회에서 한성임시정부(漢城臨時政府)가 조직되자 평정관(評政官)으로 피선되었다. 1919년 8월 7일 상해에서 다시 만주로 돌아와 서일·현천묵(玄天默)·김좌진(金佐鎭) 등과 군정부(軍政府)를 조직하고 12월에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편하여 군사부장에 취임, 청산리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청산리전쟁 이후 작전상 밀산(密山)으로 이동, 전만군사단체(全滿軍事團體)를 통일하여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여 외교부장이 되었다. 그 당시 러시아의 극동당국·동북군벌당국과 군사문제·재만한인문제를 교섭하였다. 그 뒤 대종교 총본사전리대판(總本司典理代辦)으로서 제2회교의회에서 홍범규제(弘範規制)를 수정하고 박찬익(朴贊翊)과 함께 정교가대형호(正敎加大兄號)로 승진하였다. 1925년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북로군정서의 정신을 계승하여 신민부(新民府)를 조직, 외교위원장에 임명되었고, 신민부가 성동사관학교(城東士官學校)를 설립하자 이 학교의 고문으로 독립군 양성에 전력을 경주하였다. 1925년과 1926년 두 차례 임시정부의 국무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926년 북경에서 북경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北京韓國唯一獨立黨促成會)를 조직하고, 1927년 상해에서 개최된 각지 촉성회연합회 북경대표로 참가하였다. 1931년 임시의정원 경기도위원으로 당선되었고, 1933년에 재선되었으며, 1934년에는 국무위원에 피선되었다. 1936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군무총장으로 봉직하였으며, 1937년 한국광복전선(韓國光復戰線)을 결성할 때에는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의 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그리고 1938년 군사학편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군사학을 편수하였으며, 1939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피선되었다. 그해 11월 임시정부 군사특파단장으로 서안(西安)에 파견되어 중국정부와 협의하여 한국광복군 창설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1941년 대원수부(大元帥府)의 막료로 군무부장에 임명되어 다시 최고원수부의 판공처장(辦公處長)으로 임명되었다. 1945년 12월 임시정부 요인과 같이 환국한 뒤 한국장교단장·대한독립촉성회위원장·성균관부총재 등을 역임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참고문헌 : 국가보훈처, 1986,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