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이경응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 출신으로 춘천의진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895년 일제의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 공포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였다. 이와 같이 전국적으로 전개된 의병활동 중 그가 참여한 춘천의진의 초기 의병장은 이소응(李昭應)이었다. 1896년 1월 이만응(李晩應), 유중락(柳重洛) 등을 중심으로 1,000여 명이 춘천부에 모여 이소응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거의하였다. 처음 춘천의진은 적군을 격파하는 등 기세를 올렸으나 관군의 공세가 급박해지고 성중에서도 관군과 내통하는 자가 생기게 되니 군심(軍心)이 흩어져서 형세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후 춘천의진은 이소응의 종형인 이진응(李晉應)이 지휘하였는데 이진응 의병장이 관군과 일본군의 집중공격으로 순국한 다음에는 이진응 의병장의 아우인 이경응이 의진을 지휘하였다. 이경응 의병장은 양구·강릉 등지를 넘나들며 제천의진과도 연계하여 활동하였는데 제천성이 적군에 함락되고 제천의진이 서북방으로 진출하자 군사를 이끌고 제천의진에 합류하였다. 유인석 의병장은 학교(鶴橋)에서 이경응 의병장을 맞이하면서 “그대와 내가 다 임하(林下)의 서생인데 오늘의 대장 칭호가 어찌 될 법이나 한 말인가. 이것이 바로 망극한 세상 변고 때문일세”라며 감격하였다고 한다. 200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참고문헌 : 국가보훈처, 2000,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14 ; 광부회강원도지부, 1991, 『강원도항일독립운동사』1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