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세시풍속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상달고사

음력 10월을 상달[上月]이라고 하여 1년 중 가장 높은 달로 여긴다. 이때 각 가정에서는 ‘상달고사’ 또는 ‘가을고사’라 하여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해서 정화수를 한 그릇 떠놓고 고사를 지낸다. 주부들의 고사는 집안의 여러 가지 소원이 이루어지도록 비는 안택고사(安宅告祀)가 주가 된다. 안택은 많은 가신 중에서도 어느 특정한 신에 대한 치성이 아니라 모든 신에 대한 총체적인 고사로 1년내내 가정의 평안과 재액(災厄)을 물리칠 수 있도록 비는 것이다.

더보기

김장

김장은 예로부터 반양식이라 하여 초겨울이면 집집마다 김장하는 것이 큰 행사가 된다. 김장은 대개 동지(冬至) 전후에 한다. 배추와 무를 절인 것에 속을 만들어 고추·마늘·소금 등 갖가지 양념을 넣어 버무린 다음 독에 넣고 땅속 깊이 묻는다. 그 위에 기둥을 세우고 짚을 씌워 마치 작은 움막처럼 만드는데, 이것을 김치광이라고 한다.

더보기

고사떡

주부들이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밤이 되면 안방에서 정화수 한 그릇 떠놓고 절을 한 다음 그릇그릇 떡을 담아 부엌, 장독대, 우물가, 외양간, 변소 등 집안 곳곳에 가져다 놓는다. 이는 집안에 모시는 여러 가신(家神)에게 고사떡을 바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가족들이 모여 앉아 떡을 먹고 또 이웃과 함께 나누어 먹는다. 예전에는 고사떡을 하면 집집이 돌렸으나 요즘은 가까운 이웃들만 나누어 먹는다. 지금도 10월에 고사떡을 해먹는 집은 많다.

더보기

10월 제사에는 시향(시제)을 올리며, 이때는 제사에 ‘편’을 꼭 한다. 이유는 집안이 편하라는 뜻이다. 편은 계피팥으로 해서 가루로 빻아서 고물로 한다. ‘편’은 기제사 때도 만들어 올리며 편과 함께 조청을 함께 올린다. 시제 때는 탕만 놓고 탕국은 놓지 않으며, 또한 나물도 놓지 않는다.

더보기

10월의 농사력

시월은 초겨울로서 입동과 소설의 절기이다. 이 시기 추수는 거의 끝나, 집집마다 타작한 벼를 멍석에 널어서 말리기가 한창이다. 밭에서는 무가 얼기 전에 뽑아서 땅에 구덩이를 파고 묻는다. 배추는 무보다 추위를 잘 견디기 때문에 1주일이나 10일 정도 늦게 뽑아서 김장을 담근다.

더보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