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세시풍속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아이 머리 깎아주기, 나비 보고 점치기

3월 삼짇날에 아이들의 머리를 깎아주면 머릿결이 좋아진다고 하여 머리를 조금 잘라 불에 태운다. 또 이날은 나비를 보고 점을 치는데, 흰나비를 먼저 보면 그해 상복을 입는다고 하고, 노랑나비를 먼저 보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더보기

한식

한식(寒食)은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날은 조상의 산소에 제수를 차려놓고 한식차례(寒食茶禮)를 지내는데, 한식제사는 지내는 사람도 있고 안 지내는 사람도 있다. 또 조상의 묘에 잔디를 입히거나 손질을 하는 개사초(改沙草)를 하며, 농가에서는 이날부터 씨를 뿌린다. 여주읍이나 가남면 오산리에서는 한식날 팥을 넣은 송편을 해서 제사 지내고 식혜도 해먹는다고 한다.

더보기

삼짇날·한식

삼짇날에는 제비 돌아오는 날이라고 여겨 전을 부쳐서 먹었으나 지금은 삼짇날이라고 하여 특별한 음식을 먹지는 않는다. 그러나 한식에는 차례를 지내며 이때 송편과 식혜를 만들어 올린다.

더보기

3월의 농사력

음력 3월은 절기인 청명과 곡우가 들어 있는 달로써 가래질과 못자리를 만드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겨울에 얼었던 땅이 풀리면 땅이 갈라지고 논둑이 무너져 내려앉는다. 그래서 겉땅이 녹으면서 부풀어올라온 푸석푸석한 표면을 깎고 새흙을 떠 얹어 밟고 두드려서 둑을 튼튼하게 하는 가래질은 필수적이다. 가래질은 몇몇 농가가 같이 돌아가면서 두레가래질을 한다.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만들고 볍씨를 미리 물에 담가둔다. 못자리를 할 논에는 풀을 베어서 논에 뿌리고, 다시 한 번 쟁기질을 하여 논을 거름지게 하고 땅이 완전히 일구어지도록 한다. 못자리를 한 뒤에는 물 관리와 새 쫓기를 한다. 밭에서는 보리밭을 매고 콩·서숙 등을 파종한다.

더보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