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를 활성화 시키시면 좀더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바로가기
도움말
전체목차
검색
통합검색
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주제
시간
공간
어린이 여주시사
여주의 도자기
멀티미디어 콜렉션
HOME
주제
민속
민속예술과 놀이문화
놀이문화
남·여아 공동놀이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자연과 역사
[
건너뛰기
]
성씨와 인물
[
건너뛰기
]
문화유산
[
건너뛰기
]
민속과 전승
[
건너뛰기
]
민속(5)
여주민속의 구조와 특징(3)
개요
신앙·의례·노동·놀이의 민속(4)
신앙
의례
노동
놀이
여주민속의 건강성
통과의례와 세시풍속(2)
통과의례(6)
개요
출생의례 및 성인식(3)
임신, 출산, 산후의례(4)
임신
태교와 태몽
출산
산후의례
백일과 돌(2)
백일
돌
성인식(5)
전통관례의 의미
전통관례의 절차
계례
기층민중의 성인의식
현대의 성년식
혼인례(2)
전통혼례
현대혼례(4)
일반적인 혼례
개신교식
불교식
천주교식
회갑례 및 장수 관련 의례(2)
회갑
회갑연 이외의 장수잔치
상장례(3)
전통상장례
재돋움
현대식 상례(3)
개신교식 상례
불교식 상례
천주교식 상례
제사(전통제례)(3)
기제
묘제
사시제
세시풍속(2)
개요
월별 세시풍속(13)
1월의 세시풍속(4)
설날
정초의 십이간지일
입춘
정월 대보름
2월의 세시풍속(2)
나이떡 해먹기
좀생이 점치기
3월의 세시풍속(2)
아이 머리 깎아주기, 나비 보고 점치기
한식
4월의 세시풍속(1)
4월 초파일
5월의 세시풍속(1)
단오
6월의 세시풍속(4)
밀국수·밀 부침개 천신
삼복에 복달임
기우제
봉선화물들이기
7월의 세시풍속(2)
칠성맞이
백중
8월의 세시풍속(2)
추석차례
추석놀이
9월의 세시풍속(1)
중양절
10월의 세시풍속(2)
상달고사
김장
11월의 세시풍속(1)
동지팥죽 쑤기
12월의 세시풍속(2)
묵은세배
수세와 불밝히기
윤달의 세시풍속
의식주 및 생업민속(2)
의식주(3)
의생활(3)
의례복(6)
출생과 의복
혼례와 의복
회갑과 의복
상례와 의복
제례와 의복
명절복
일상복(2)
어린이
성인
노동복
식생활(3)
일상음식(3)
주식류
반찬류
장류
세시와 별식(12)
설
정월대보름
이월초하루(노비일)
삼짇날·한식
초파일
단오·유두
칠석
삼복
추석
중구절
시월고사와 시제
동지
통과의례와 음식(6)
출산
백일과 돌
생일과 회갑
혼례
제례
동제
주생활(4)
건축의례(6)
텃고사
지경다지기
개공고사
성주운 보기
상량고사
집들이
가옥 사례(2)
반가
민가
여주시 가옥의 특징
주거형태의 변화
생업민속(4)
개요
농업(5)
농작물
농사력(12)
정월의 농사력
2월의 농사력
3월의 농사력
4월의 농사력
5월의 농사력
6월의 농사력
7월의 농사력
8월의 농사력
9월의 농사력
10월의 농사력
11월의 농사력
12월의 농사력
공동 노동조직과 놀이(2)
두레
놀이
농기구(41)
쟁기
가래
괭이
쇠스랑
삽
써레
번지
나래
고무래
다래끼
오줌장군
삼태기
호미
제초기
맞두레
용두레
낫
도리깨
그네
탯돌과 개상
탈곡기
멍석
발
키
체
바람개비
디딜방아
연자방아(연자매)
물레방아
절구
맷돌
지게
옹구
발채
길마
마차
손수레
독
섬과 가마니
통가리와 나락뒤주
뒤주
농기구의 변화
상업민속(2)
상업관행-5일장
해상교통
어로민속(2)
어종과 명칭(2)
어종
어류의 명칭
어촌민과 어촌계(3)
어민현황
고기 잡는 방법
어촌계
민간신앙(3)
공동체 신앙(3)
개요
마을신앙(4)
산신제(5)
점동면 처리 소무산 산신제
대신면 초현 2리 단오산치성
북내면 신남리 봉미산 산제
흥천면 효지 2리 매봉산 산신제
가남읍 연대리 연대산 산제사
탑고사와 장승제(2)
강천면 적금리 장승제
산북면 백자리 탑고사
당제
지신밟기
관행신앙(6)
기우제
사직제(2)
각종 제도
의주
풍운뇌우·산천·성황제
악·진·해·독·제왕릉묘제
이사
향려
가정신앙(2)
개요
가정신앙(10)
조상신·제석
성주신
터주신
업신
삼신·삼신할머니·산신
조왕신
측신
칠성신
고사
기타 민간의료, 금기, 점복
무속신앙(4)
개관
여주무속 관련자료(6)
『경기민속지 I 개관편』(경기도박물관, 1998)
『경기도의 굿』(하주성, 1999)
『여주의 민속과 전승』(여주군·여주문화원·여주군사편찬위원회, 2002)
『여주군지』(여주군지편찬위원회, 1989)
『金沙面誌』(여주문화원, 1998)
『경기도 세시풍속』(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여주의 무속(4)
무당(4)
세습무
강신무
법사
선무당
의례(이포나루 삼신당굿의 사례)(5)
명칭
관련설화
설화의 내용 검토
제당의 현황
삼신당굿의 진행과 내용
무가
기도터와 굿당(4)
번도리(번도 5리) 북성산 물탕골
번도 5리 북성산 약수터
남한강 금모래은모래 강변
기타
맺는 글
민속예술과 놀이문화(5)
판소리(3)
여주와 경기 판소리 문화
염계달의 생애와 예술
염계달의 더늠(6)
춘향가의 ‘네 그른 내력’
춘향가의 ‘이별가’
춘향가의 ‘남원골 한량’
춘향가의 ‘돈타령’
수궁가의 ‘앞내 버들’
수궁가의 ‘토끼 욕하는 대목’
농악(3)
개요(4)
농악의 명칭
농악의 형태(3)
마을농악
걸립농악
판굿
농악의 편성(4)
농악에 쓰는 기
잽이
잡색
악기
음악적 특징(2)
장단
채와 마치
경기농악의 특징
여주농악의 현장(5)
여주농악
지역별 농악의 자취(9)
여주읍
강천면
가남읍
북내면
점동면
흥천면
능서면
대신면
금사면
여주농악의 형태와 내용(2)
점동면 흔암리 강고사굿
지신밟기
여주농악의 인맥(4)
제1기 : 천일초
제2기 : 1987년 7월부터 1992년까지
제3기 : 1993년 11월 이후
제4기 : 두들쟁이 ‘타래’
여주농악의 육성방안
두레싸움(2)
두레에 관한 고찰(4)
두레와 농악
농기세배
농기싸움
분포 및 유래
여주의 두레싸움(3)
여주 두레싸움의 연희장소 및 시기
인원편성
연희방법(6)
길놀이
기세배
마당놀이
기돌림
두레싸움
뒷풀이
놀이문화(4)
성인 민속놀이(17)
윷놀이
널뛰기
그네뛰기
찐뽕(찐봉)
달집태우기
달맞이
씨름
바둑
장기
마패
골패
투전
쌍륙
화투
낫치기
갈퀴치기
돈치기
남아 민속놀이(19)
자치기
닭싸움
못치기
비석치기
진뺏기
말타기
제기차기
팽이치기
깡통차기
딱지치기
가마놀이
기마놀이
도둑잡기
한발뛰기
썰매타기
풀겨루기
연날리기
연싸움
구슬치기
여아 민속놀이(6)
고무줄놀이
공기놀이
실뜨기
땅뺏기
목자놀이
줄넘기
남·여아 공동놀이▶
(9)
고니
서리
닭놀이
조조잡기
숨바꼭질
얼음땡
떡치기
햄버거
바이킹
우수 전통 민속놀이(11)
흔암리 쌍용거줄다리기
원부리 얼답교놀이
본두리 해촌낙화놀이
지내리 단허리놀이
마래리 거북놀이
여주 풍물놀이
굴암리 줄다리기
천남리 지경닫기
천송리 소지개줄다리기
후포리 두레싸움
신지리 장채놀이
구비전승(3)
민요와 전래동화(2)
민요(8)
개요
여주 민요의 분포와 특징
노동요(3)
농업요(2)
모심기 노래
논매기 노래
어업요
기타 노동요(5)
지경소리
지점노래
나무꾼 노래
목도
자장가
의례요(의식요)(3)
세시풍속요(1)
고사소리·고사반
장례의식요(3)
상여소리
달고소리
회다지 소리
무가(신앙요)(3)
창부타령
창부거리
대감노리
유희요(유흥요, 오락요, 여가요)(4)
타령
잔치 놀이
어희요
풍물 노래(1)
한강수 타령
부요(1)
베틀노래
동요
기타 민요(2)
회심곡
우야에호
전래동화(67)
복숭아 씨에서 나온 군인
굶어 죽은 게으름뱅이
좁쌀 한 톨로 장가 든 총각
젊어지는 샘물
머리 아홉 달린 도둑 귀신
금방망이 은방망이
송장을 뜯어먹는 아이
은혜 갚은 호랑이
소년 목사
천근 쇠 휘두른 장사
세 아들의 결심
이상한 오리나무
은혜 갚은 호랑이
부자가 된 세 아들
은혜 갚은 시체
호랑이의 봉변
신의를 저버린 순경
우렁이와 총각
원수 갚은 며느리
지혜로운 나그네
토끼 집의 봉변
혼이 난 금발소녀
가난뱅이가 된 욕심쟁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계모의 회개
노부부의 봉변
꽹과리로 부자가 된 거지
효성망극
콩 심은 데 콩 난다
엄마 귀신
말하게 된 벙어리
등이 납작해진 거북
말 안 들은 청개구리
아버지 살린 효자
신의 지킨 갸륵한 처녀
도깨비에게 혼이 난 초동
착한 아기 토끼
은혜 갚은 호랑이
패가한 부자
이상한 맷돌
학대받는 오누이들
장끼 부인의 꾀
머리 아홉 달린 괴물
해골의 물 마시는 여학생
무지한 훈장의 성공
효성 어린 며느리
이상한 옷
우물에 빠져 죽은 늑대
얘기로 쫓은 도둑
똥으로 끓인 된장국
방귀로 떨어뜨리는 감
은혜 갚은 고기
찰떡 먹고 죽은 귀부인
도깨비 친구
금사과로 공주와 혼인한 막내아들
아버지 원수 갚은 포수의 아들
부자가 된 거지 동생
노루가 된 자매
어부 아들의 소원
어리석은 호랑이
소쩍새가 된 며느리
초동에게 배운 교훈
순진한 아이
효녀 지은
서로 원수가 된 개와 고양이
처녀 귀신의 넓적다리
김선달의 꾀
설화와 전설(2)
인물 및 사적 설화(52)
고달사지에 서린 전설(1)
고달사지에 서린 전설(2)
남이고개
명성황후와 능촌
삿갓바위와 대나무 숲
능서 번도리 말마당
계신리 마애불
여귀수의 전설(1)
여귀수의 전설(2)
본두리 낙화놀이
주어사지
신랑바위와 각시바위
한새울의 소슬묘
영릉 천장에 관한 전설
흥왕사에 얽힌 전설
천령 최씨 시조묘와 삼신당
득명당의 계책
청백리와 여주목사
가정리와 반여울의 전설
인조반정의 오리정승과 도끼정승
마암에 얽힌 전설
강금산의 전설
금반형의 전설
까막산에 얽힌 전설
마귀할멈과 물레돌
용강골에 얽힌 전설
왕사 나옹선사의 입적
싸리산의 전설
신륵사의 전설
자산
효자문
선돌
청주 경씨 중시조 묘에 얽힌 전설
단종어수정
박준원, 박종경 이야기
요령과 귀래동의 전설
부처울의 전설
덕곡의 전설
금당의 전설
수촌 박씨포의 전설
은골의 전설
어사 물거리의 전설
행치고개의 전설
이완과 적괴의 형제
김생의 막손
허생에 얽힌 전설
이괄에 얽힌 전설
허씨 삼형제 이야기
양반과 평민의 우정
보은사 중창과 백사녀
신들린 잉어
재상 황효헌
지명유래(4)
주요 지명의 유래(30)
강금산
고산
기관산
논나무재
대포산
마감산
보금산
봉미산
북성산
상두산
싸리산
석기고개
소달산
양자산
앵자봉
연대산
연하산
오갑산
옥녀봉
우두산
장화치
파사산
혜목산
마암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금당천
곡수천
여강
여주 명칭의 유래
여주에 통합된 통폐합 지역(6)
등신장
방근곡처
신잉이처
신제처
어량현
천령현
읍·면·동 법정리 지명유래(12)
여흥동(13)
능현동
단현동
매룡동
멱곡동
삼교동
상거동
상동
신진동
연양동
우만동
점봉동
하거동
홍문동
중앙동(6)
가업동
교동
연라동
월송동
창동
하동
오학동(4)
천송동
오학동
현암동
오금동
가남읍(20)
태평리
신해리
상활리
대신리
은봉리
건장리
심석리
삼군리
오산리
정단리
화평리
본두리
하귀리
안금리
양귀리
연대리
금당리
금곡리
송림리
삼승리
흥천면(15)
계신리
귀백리
내사리
다대리
대당리
문장리
복대리
상대리
상백리
신근리
외사리
율극리
하다리
효지리
양촌리
금사면(11)
이포리
궁리
도곡리
장흥리
주록리
전북리
소유리
상호리
하호리
금사리
외평리
산북면(7)
상품리
송현리
후리
명품리
주어리
백자리
용담리
대신면(19)
후포리
당산리
가산리
천남리
하림리
상구리
장풍리
옥촌리
윤촌리
무촌리
도롱리
계림리
송촌리
천서리
당남리
보통리
율촌리
초현리
양촌리
북내면(15)
당우리
신남리
외룡리
내룡리
상교리
주암리
서원리
석우리
덕산리
장암리
중암리
운촌리
신접리
지내리
가정리
강천면(9)
간매리
걸은리
이호리
가야리
적금리
굴암리
강천리
부평리
도전리
점동면(15)
청안리
부구리
덕평리
원부리
관한리
뇌곡리
성신리
당진리
현수리
사곡리
장안리
삼합리
도리
흔암리
처리
능서면(13)
매화리
왕대리
구양리
백석리
매류리
양거리
용은리
신지리
마래리
번도리
내양리
광대리
오계리
방언과 민담(2)
방언(6)
서언
음운체계(4)
자음체계
단모음체계
이중모음체계
운소체계(1)
음장(length)
음운현상(10)
고모음화(2)
/에/→/이/
/어/→/으/
전설모음화(2)
/으/→/이/
/이/→/우/
원순모음화
움라우트
모음조화
경음화(1)
어두 경음화
구개음화(1)
어두자음의 구개음화
마찰음화(1)
체언말자음의 마찰음화
유기음화(1)
공시적 유기음화
자음군 단순화(2)
체언의 자음군 단순화
용언의 자음군 단순화
곡용과 조사(2)
격조사(7)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처격조사
여격조사
공동격조사
구격조사
호격조사
특수조사
활용과 어미(2)
어말어미(3)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3)
주체 존대 : -시-
시제
추측
어휘(13)
농사
음식
가옥
의복
인체
육아
인륜
경제
동물
식물
자연
상태
동작
여주의 민담(26)
미움을 이겨낸 홍정승의 의리
부원군을 몰라본 시골 녹사
시를 볼 줄 아는 김안국
이완과 장사 박탁
이완의 현명한 첩
이완의 담력
신여철의 뺨을 때린 시체
지혜로운 어머니의 말을 듣지 않았던 윤휴
겨우 일곱 나이에 피난길의 식구를 모두 살린 민유중
요절을 예견하는 시를 지은 홍명구
은산지에서 은가락지를 못 끼게 한 원호
뇌물은 도리어 화를 부른다는 이치를 깨닫게 한 이원익
유기장이의 딸을 정부인으로 삼은 이장곤
죽었다가 살아난 사람
홍수에도 수해를 입지 않은 논
고달사의 유래
신털이봉의 유래
북바위 징바위 유래
행차고개
호환당한 집과는 혼사를 안 하기
보쌈 - 가마골 이야기
천령 최씨가 부자된 유래
오뉘 힘내기 전설
호랑이 구하고 명당 얻기
말방다리 유래
도깨비에게 홀린 이야기
현대의 정치경제
[
건너뛰기
]
현대의 사회문화
[
건너뛰기
]
자료집
[
건너뛰기
]
+
확대
-
축소
◀
이전항목
다음항목
▶
남·여아 공동놀이
고니
서리
닭놀이
조조잡기
숨바꼭질
얼음땡
떡치기
햄버거
바이킹
+
확대
-
축소
◀
이전항목
다음항목
▶